기온 1도 오르면 사망률 16% 상승.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폭염시 기온이 섭씨 1도 더 오르면 서울지역의 사망률은 16%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혜숙(이화여대 의대 예방의학교실)·이원경(인하대병원 예방관리과) 교수팀은 1991~2012년 서울과 부산에서 폭염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오늘(27일)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서울과 부산지역에서 고온이 사망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기간을 4년 단위(1991~1995년, 1996~2000년, 2001~2005년, 2006~2012년)로 나눠 고온이 사망에 미친 영향을 폭염 유무에 따라 분석했다. 그 결과 서울의 경우 폭염이 발생한 연도에 임계점(29.2도) 이상에서 기온이 1도 상승하면 사망률이 15.9%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폭염이 발생하지 않은 해에는 기온이 1도 상승하더라도 사망률이 0.31% 증가해 고온이 사망률에 미친 영항이 크지 않았다. 또 서울에서는 전체 조사구간(1991~2012년) 중 1991~1995년에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부산의 경우, 전체 조사구간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없을 만큼 고온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부산은 기온이 1도 상승해도 사망률은 0.24% 증가하는데 그쳐 고온과 사망률의 관계가 폭염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이 같은 도시간 사망률의 차이는 서울 등 도심지역이 주변보다 기온이 높게 나타나 도심이 하나의 뜨거운 섬이 되는 현상인 열섬효과(heat island effect)가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연구팀은 "폭염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며 고온과 사망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나 그동안 고온관련 사망의 추세를 평가한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폭염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며 "고온과 사망의 관련성 및 추세에 관한 연구에 따라 그 결과들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폭염 여부를 고려하지 않으면 잘못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