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주한미군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중국 정부가 강력하게 반발하며 경제적 후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중국과 직·간접 관계가 있는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경제보복이나 중국 소비자들의 반한 감정이 실적 악화로 이어질 것을 걱정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00년 한국 정부가 농가보호를 위해 중국산 마늘에 물리는 관세를 30%에서 315%로 10배 이상 올리자 중국은 한국산 휴대전화, 폴리에틸렌 수입 중단으로 맞불을 놨다.

당시 중국에서 들여오는 마늘의 규모는 1000만달러 미만, 휴대전화와 폴리에틸렌의 중국 수출규모는 5억달러가 넘어 피해가 막심했다. 결국 한국 정부는 40일 만에 무릎을 꿇고 마늘에 대한 관세율을 이전 수준으로 되돌렸다.

/사진=뉴시스

지난해 한국의 대중 수출 규모는 1371억달러로 미국(698억달러)과 일본(255억달러)를 합한 것보다 훨씬 더 많다. 대중 수출 의존 비율은 전체 수출의 4분의1 이상을 차지하는 26% 수준이다.


중국시장과 관련이 있는 기업들이 사드 도입에 따른 경제적 파장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특히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화장품 ▲식음료 등 중국 비중이 큰 업종의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대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경제적 대응이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경제적 후폭풍을 예단하기는 어렵다”면서도 “비관세장벽 강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제재등 역풍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중국인 관광객의 비중이 절대적인 상황에서 중국 소비자들의 반한 감정이 높아질 경우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경제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중국 의존도를 줄여 나가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경제 외적인 이슈로 시장이 휘청하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 중심의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며 “부정적 이슈가 터질 때마다 중국 눈치만 살피며 살 수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