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절 의미.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오늘(18일) 유두절은 음력 6월15일에 해당되며 '동류수두목욕'이라는 말에서 유래됐다. 유두절 의미는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유두절인 이날은 개울에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 뒤 유두음식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고 나쁜 일도 생기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유두음식으로는 유두면·수단·건단·연병 등이 있다. 밀가루로 만드는 유두면은 참밀의 누룩으로 만들 경우 유두국이라고도 하였는데, 구슬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 오색으로 물들인 뒤 세 개씩 포개어 색실에 꿰어 몸에 차거나 문에 매달면 재앙을 막는다고 전해졌다.


수단은 찹쌀로 만든 새알을 차가운 꿀물에 타먹는 것이며, 얼음물에 타지 않고 그냥 먹는 것은 건단이라 한다. 연병은 밀가루 반죽을 넓게 밀어 기름에 튀기거나 깨와 콩을 묻혀 꿀을 바른 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