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에 있는 한진해운 신항만터미널 모습. /사진=뉴시스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돌입하며 ‘물류대란’이 현실화됐다. 한진해운이 사실상 정상적 영업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국내 2위 선사인 현대상선은 다음 주부터 대체 선박 13척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물류대란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 법정관리 돌입, 우려 현실화

한진해운은 지난 1일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되면서 글로벌 해운동맹에서 퇴출됐다. 업계에 따르면 한진해운은 해운동맹인 CKYHE 측으로부터 퇴출통보를 받았다. 한진해운은 내년 4월 출범 예정인 ‘디 얼라이언스’에서도 자연스럽게 배제될 전망이다.


한진해운에 화물을 맡겼던 화주들은 급하게 짐을 되찾기 시작했다. 한진해운의 선박이 외국 사채권자들에 의해 억류되거나 항만에 입항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31일 중국 싱가포르 캐나다 등 6곳의 항구가 한진해운 선박의 입항을 거부한 데 이어 지난 1일에는 중국 상하이 항과 일본 요코하마 항, 미국 롱비치 항, 호주 시드니 항, 독일 함부르크 항 등 7곳이 추가로 입항을 거부했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한진해운 법정관리가 현실화되며 화물 운임이 전주대비 40~50% 정도 인상됐다. 이 화주들이 급하게 새로운 배를 찾으면서 해운 운임은 더 상승할 전망이다.


◆ 현대상선으론 역부족… 선박억류 막아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정용석 KDB산업은행 구조조정본부 부행장, 김충현 현대상선 최고재무책임자(CFO) 등과 긴급 회의를 열고 한진해운 사태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했다.

현대상선은 한진해운이 단독으로 운영하던 미주항로에 4척, 유럽항로에 9척의 컨테이너선을 투입하기로 했다. 다음 주부터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화물이 집중돼 있는 미주항로에 4000TEU급(1TEU는 약 6m 길이의 컨테이너 1개분) 컨테이너선을 매주 1회 투입할 계획이다. 유럽 노선에는 5000∼6000TEU급 컨테이너선이 이달 중순부터 매주 투입된다.

현대상선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한진해운의 영업 네트워크와 핵심 인력, 일부 선박 등 우량 자산을 인수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하지만 국내 최대선사인 한진해운의 물동량을 모두 대체하기엔 역부족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지자체나 정부가 한진해운 선박을 억류할 수 없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방안”이라며 “법정관리 결정 이전부터 이 같은 문제를 예상하고 대비했어야 했다”고 아쉬움을 표명했다.

법원은 지난 1일 한진해운 소유 선박에 대한 해외 강제집행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히 회생절차를 개시하고 자산을 동결하는 보전처분과 채권자들의 강제집행을 막는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다. 정부는 외국에서 선박이 억류되는 것을 막기 위해 외국법원에 ‘스테이 오더’를 신청할 방침이다. 다만 신청해야할 국가가 많고 절차가 복잡해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