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 따르면 이날 경북 경주에서 여진이 발생했음에도 모든 발전소가 정상가동 중이다. 고리원전은 부산 기장군과 울산 울주군에 걸쳐 있다.
본부 측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고리원전의 방재시스템을 대폭 강화했는 입장. 최악의 상황에 원전 연료가 손상되고 대규모 수소가 발생해도 전력 없이 수소를 제거해 후쿠시마 원전처럼 폭발하지 않도록 설비를 갖췄다는 것이다.
고리원전/사진=뉴스1
하지만 한반도에서는 드문 강진이 잇따라 발생하며 원전사고나 각종 위험물·유독물 유출에 대한 우려는 증폭될 수밖에 없다.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경우 방사능물질 누출뿐 아니라 경제에 심각한 타격과 함께 내부피폭 등 인명피해로도 이어졌다.
국내 환경단체들은 원전지역이 지진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이번 지진을 계기로 원전대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1998년 경북 영덕군 낙동강 하구 일대에 지각변동으로 땅이 어긋난 양산단층대에 대해 정밀조사를 진행했다. 다만 이번 지진이 관측사상 최대규모인 만큼 당시의 안전성 판단에 대해 재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원전의 내진성능을 현행 진도 6.5에서 7.0 수준으로 보강하는 한편 모든 원전에 대한 스트레스테스트 시기를 1년 앞당기는 등 선제적조치를 취한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