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왼쪽)과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단위: %) /표=한국감정원
한국감정원은 지난 1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 결과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각각 0.04% 상승했다고 22일 밝혔다.매매가격은 저금리 기조가 유지됨에 따라 기존 전세수요자들의 매매전환이 늘어난 가운데 교통 및 학군 등 입지여건이 양호한 지역의 실수요에 계절적 영향이 더해지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0.04%→0.04%)했다.
전세가격은 추석 명절 이후 본격적인 가을이사철로 접어들며 상승세는 지속됐지만 신규 아파트 전세공급과 연립·다세대주택과 같은 비아파트로의 수요분산 등으로 전체적으로는 역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0.04%→0.04%)했다.
매매가격은 저금리를 이용한 전세수요자의 매매전환과 교통호재, 가을철 성수기 영향 등으로 수도권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방은 부산 해운대(동부산관광단지), 경남 사천(항공국가산업단지), 강원 속초(춘천-속초 철도건설사업) 등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올해 처음 상승을 기록하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8%)은 서울은 상승폭 축소, 인천은 상승폭 유지, 경기는 상승폭 확대되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지방(0.01%)은 충남과 경북은 하락폭이 확대됐지만 부산은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울산과 강원은 상승폭이 확대되며 전체적으로 지난주 보합에서 상승 전환됐다.
시도별로는 부산(0.17%), 제주(0.12%), 서울(0.12%), 강원(0.08%), 전남(0.06%), 경기(0.06%) 등은 상승, 광주(0.00%)는 보합, 충남(-0.13%), 경북(-0.11%), 충북(-0.05%), 경남(-0.04%) 등은 하락했다.
전세가격은 저금리 영향에 따른 월세 전환으로 전체적인 상승세는 이어갔지만 새 입주 아파트 전세공급과 기존 전세수요자의 매매전환이 늘고 연립·다세대주택 등 비아파트로 수요가 분산되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7%)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한 가운데 서울은 상승폭 확대, 인천은 상승폭 축소, 경기는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지방(0.02%)의 경우 부산은 가을이사철에 접어들며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주도하고 전남과 울산의 상승폭은 확대됐다. 반면 대구와 경북 등 신규 아파트 공급이 많은 지역에서는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부산(0.14%), 인천(0.07%), 경기(0.07%), 충북(0.06%), 서울(0.06%), 전남(0.06%) 등은 상승, 대구(-0.07%), 경북(-0.07%), 충남(-0.06%), 광주(-0.01%)는 하락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