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자동차 제작사와 협의해 국내외적으로 문제가 돼 왔던 다카타 에어백의 리콜대상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다카타 에어백은 충돌사고와 함께 전개될 때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면서 파손된 금속 파편이 운전자와 승객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까지 미국, 말레이시아 등 해외에서 14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바 있다.

다카타 사의 분석 결과,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질산암모늄과 에어백 내부로 스며든 습기가 반응하게 되면 차량충돌 시에 에어백이 비정상적으로 팽창되고, 비정상적 팽창과정에서 인플레이터가 파열되면서 인플레이터 파편이 안전을 위협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카타는 당초 에어백의 종류별 또는 생산지별로 습기의 침투 가능성을 판단해 미국과 멕시코에서 생산된 일부 에어백에 대해 리콜을 시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2013년부터 리콜에 착수해 올 상반기까지 총 5만여 대의 대상차량 중 약 45%인 2만3000여대의 에어백이 문제가 없는 에어백으로 교체됐다.

그러나 지난 5월 미국의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다카타와 협의해 에어백의 종류나 생산지에 관계없이, 에어백 부품내부에 습기제거용 건조제가 들어있지 않은 모든 다카타 에어백에 대해서는 리콜이 필요하다고 기존의 입장을 변경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만 약 3000만대(추정)의 차량에 대한 추가리콜이 전격 발표됐다.

NHTSA는 일시적인 대량 리콜로 부품조달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자동차 운행지역의 기후에 따라 미국 전역을 기후에 따라 3구역으로 나누고, 우선적으로 고온다습한 지역에서 운행되는 2011년식 이전 차량부터 순차적으로 리콜을 실시토록 했다.


미국에서의 다카타 에어백 리콜 확대 이후 국내에서도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위해 신속한 리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국토부는 각 자동차 제작사에 건조제가 없는 다카타 에어백 장착 차량에 대한 결함가능성을 알리고 지난 6월27일 리콜대상 차량과 리콜시행 일정을 담은 시정계획서를 조속히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국토부의 리콜 확대 요청에 대해 대부분의 제작사(17개 업체 중 13개)가 해외본사와의 협의를 통해 국내에서도 리콜을 확대 실시키로 하고 시정계획서를 제출했다.

다만 한국지엠과 GM코리아, 메르세데스 벤츠, 한불모터스 등 4개 업체는 아직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자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미국 등 타국에서도 다카타 에어백을 장착한 자사 생산차량의 리콜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국내 리콜 여부에 대해 유보적 입장을 표명했다.

국토부는 리콜 시행 여부에 유보적인 입장을 표명한 4개사에 대해서는 미국 등 해외에서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대응해 나가되, 필요할 경우 제작결함조사에 착수해 제작결함이 발견되거나 고의로 결함을 은폐‧축소하거나 리콜 시행을 지연한 것으로 판명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해당 에어백의 시정명령과 함께 형사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가 제작사들과 협의해 확정한 우선 리콜 대상은 2011년 이전에 생산돼 판매된 총 22만1870대의 다카타 에어백 장착차량 중 50% 수준인 약 11만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