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S DB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업무의 과도한 외주화로 승객 안전을 위협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9일 코레일 국정감사에서 "코레일이 기관사와 승무원, 역무원, 차량유지보수까지 무차별로 외주화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승객뿐만 아니라 하청근로자도 위험에 내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레일 외주인력은 2010~2015년 3929명에서 4782명으로 21.7%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인력 중 위탁인력 비율은 같은 기간 12.5%에서 14.6%로 2.1%포인트 증가했다. 또한 2012년 이후 현재까지 코레일 외주업체의 안전사고 발생건수는 31건으로 사망자 14명, 부상자 18명에 달한다.


황 의원은 "시민안전을 책임지는 업무가 대부분 외주화됐다"며 "코레일에 의한 체계적 관리가 어렵고 하청근로자에 대한 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코레일은 2004년 공사 전환을 앞두고 철도시설 유지관리와 전기설비, 철도차량 정비부문의 자회사를 설립했다. 황 의원은 "고위험 작업에 대해서는 코레일이 직원을 직접 고용하고 단순업무나 안전문제가 없는 작업에 대해서만 외주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한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