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17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현지 철도청과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활용하는 물류 운송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를 통해 삼성전자와 러시아 연방철도청은 기존 해상 운송을 통해 한국과 중국에서 출발해 동유럽까지 운반됐던 완제품과 자재물량을 TSR로 운송키로 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월부터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자재를 만주 횡단철도(TMR)와 TSR을 통해 TV와 세탁기 등을 생산하는 러시아 깔루가 공장까지 운송해 왔다.
17일(현지시간) 모스크바의 러시아 연방총리 관저에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가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박상진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사장(오른쪽)과 올렉 벨로제로프 러시아 철도공사 사장이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활용한 물류 운송 MOU에 서명한 후 협정서를 교환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이를 통해 기존 해상 운송에 50일이 소요되던 것을 18일로 단축시키면서 물류 비용까지 절감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이번에 MOU를 통해 추가로 포함되는 구간은 러시아뿐만 아니라 유럽까지 이동하는 경로다.
한국과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과 자재를 실은 배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 도착한 후 TSR을 통해 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 등 유럽까지 이동하는 것이다.
이 경로를 활용하면 기존 해상 운송에 35일이 소요되던 것이 18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물류 운송 기간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경우 공급망에서 재고 관리와 제품 모델 변경 등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물류 운송 비용 감소 이상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앞으로 러시아 철도청과의 협의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물류 네트워크 구축에 힘쓰겠다”며 “기존 해상 운송에 국한됐던 루트를 다변화해 다양한 글로벌 리스크에 대비할 수 있는 물류 운송망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