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 /사진=임한별 기자
금융당국이 미래 금융의 핵심 인프라로 떠오르는 블록체인 등 신기술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금융권 공동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연내 출범한다. 이를 통해 공동연구와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 비트코인 등 디지털 통화는 해외 제도화 동향을 살펴보면서 관계부처 간 긴밀한 협의를 거쳐 제도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4일 ‘제12차 핀테크 데모 데이’에 참석해 “미래 금융의 핵심 인프라로 떠오르는 블록체인 연구를 위해 연내에 금융권 공동 컨소시엄을 출범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핀테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핀테크 관련 업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규모를 3년간 3조원으로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임 위원장은 “핀테크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발전전략이 필요하다”며 “기존의 정책이 ‘육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앞으로는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2단계 발전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1단계가 불합리한 규제를 없애는 데 집중했다면 2단계에서는 핀테크 환경에 적합하도록 기존 제도를 재설계하는 데 중점을 뒀다는 얘기다. 금융위는 내년 1분기에 관련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임 위원장은 이를 위해 “금융규제 테스트베드 제도를 도입해 규제 부담 없이 새로운 핀테크 서비스를 시험해 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며 “비대면 거래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인증, 본인확인 등 각종 규제와 관행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핀테크지원센터는 핀테크 산업 관련 국내외 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원스톱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핀테크 통합포털을 오픈했다. 이에 따라 핀테크 기업은 이 포털을 통해 금융사, 투자자, 일반 이용자들에게 자사 서비스를 소개하고 상호소통할 수 있게 됐다.
또 데모데이행사에 앞서 금융위는 싱가포르통화청(MAS)과 핀테크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핀테크 통합포털을 선보였다. 이번 협약에서 양국은 핀테크 관련 규제·정책·시장동향 등에 대한 정보교류와 인적교류, 핵심 기술에 대한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에 합의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