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계속되는 저금리로 예정이율이 떨어지면서 보장성 보험료가 오르고 있는 가운데 남성보다 여성의 인상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40세 가입자가 20년간 납입하는 가입금액 1억원짜리 종신보험을 기준으로 예정이율 인하시 보험료 변화를 예상한 결과 여성의 보험료 상승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예정이율은 보험사가 고객에게 보험금·환급금을 지급할 때 적용하는 이율로 보험료를 산정하는 기준이 된다. 예정이율이 낮아지면 그만큼 고객이 내야 하는 보험료가 올라간다.
보험개발원이 예정이율 3.50%부터 2.25%까지 0.25%포인트씩 떨어질 경우 보험료를 계산한 결과 남성은 예정이율 3.50%(보험료 20만3150원)에서 0.25%포인트 떨어질 때마다 보험료가 약 6.2∼6.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50%의 예정이율이 적용되면 남성의 보험료는 26만1093원으로 3.50%일 때보다 28.5% 올랐다.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보험료 자체는 낮지만 상승률이 더 높았다. 예정이율 3.50%(보험료 16만9885원)에서 0.25%포인트 떨어질 때마다 보험료는 7.5∼8.1%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정이율 2.50%를 적용하면 여성의 보험료는 22만8916원으로 3.50%일 때보다 34.7% 올랐다.
이처럼 보험료 상승폭이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기대수명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 남성의 기대수명은 79년인 반면 한국 여성의 기대수명은 85.5년으로 남성보다 6.5년 더 길다. 여성의 예상 사망 시점이 남성보다 늦어지는 만큼 향후 지급할 보험금의 현재 가치가 낮아지는 셈이다. 이에 따라 여성의 보험료가 남성보다 적은 반면 예정이율이 낮아질 때 인상 폭이 더 커진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