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이번 하만 인수를 통해 최근 인수한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솔루션업체 비브랩스와 시너지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하만의 오디오·커넥티드카 기술에 음성인식 솔루션을 더하면 자동차 전장 사업에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 것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뉴스1
여기에 삼성전자가 보유한 5G 통신, OLED 등의 기술까지 융합하면 완벽에 가까운 스마트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게 사측의 판단이다.
삼성전자는 하만 M&A 발표 뒤 미국에서 가진 기업설명회에서 두 회사의 시너지효과가 크다고 강조했다. 다만 과거 실패의 쓴맛을 본 완성차 제조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영 삼성전자 전략 담당 최고책임자(사장)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하만과 공동으로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삼성전자와 하만은 ‘커넥티비티’를 극대화하는 솔루션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며 “완성차 제조에는 뛰어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삼성전자는 삼성자동차 출신 박종환 부사장을 팀장으로 30여명으로 이뤄진 전장사업팀을 꾸렸지만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M&A로 단숨에 세계 1위 자리에 오르게 됐다.
하만은 프리미엄 인포테인먼트와 카오디오시장에서 시장점유율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 텔레매틱스는 2위다. 전체 사업에서 전장 사업 매출 비중이 65%에 달하는 전장 사업 전문기업이다.
손 사장은 “휴대폰이 피쳐폰에서 복잡한 스마트폰으로 발전했듯이 자동차의 미래도 스마트 테크놀로지와 연결성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라며 “자동차 산업의 발전 속에서 새로운 수요와 기회를 발견했고 삼성전자와 하만의 협업으로 스마트카 에코시스템에 1등 솔루션 공급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