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1월1일 귀국. /자료사진=뉴스1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1월1일 귀국한다는 소식이 알려진 가운데 일본 자위대의 무기 사용 가능성을 넓힌 새 임무를 지지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은 반기문 총장이 지난 28일(현지시간) 일본 언론들과의 기자회견에서 자위대의 새임무인 '출동경호'를 염두에 두고 "(자위대가)더 큰 공헌을 하려는 것을 완전하게 지지하며 깊이 감사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출동경호'는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중 무장 집단의 습격을 받은 비정부기구(NGO) 관계자나 유엔 직원 등이 있는 곳으로 출동해 구조하는 활동으로 출동 경호 임무가 지난 3월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안보관련법을 재개정해 '무력 사용'의 길을 닦은 아베 정권의 군국주의 행보 중 하나로 꼽히는 상황에서 반 총장이 감사의 뜻까지 표명한 것은 적절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 같은 보도와 논란에 대해 반기문 총장 측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반 총장 측은 “일본의 적극적인 평화유지활동과 함께 유엔과 일본의 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을 뿐”이라며 “자위대라는 단어도 꺼낸 적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반 총장은 지난 2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일본 언론과 기자회견을 하고 “1월 1일이 되면 민간인으로서 한국에 돌아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 돌아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고향을 위해 뭐가 가능할 지 친구들, 한국 사회의 지도자들과 이야기하고 싶다”며 임기 후의 계획을 밝혔다.
이에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1월 1일에 민간인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1월 중순에 한국에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히며 ‘1월 1일 귀국설’을 부인했다.
이에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1월 1일에 민간인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1월 중순에 한국에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히며 ‘1월 1일 귀국설’을 부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