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합의.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5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국민권력시대, 어떻게 열 것인가? 청와대 재벌 검찰 개혁을 중심으로' 시국강연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은 어제(2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한일 위안부 합의는 국민들로부터 탄핵됐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정부는 굴욕적인 12·28 한일 위안부 합의를 무효화하고, 피해자를 기만하고 허울뿐인 '화해치유재단'을 해체해 모든 것을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일본의 공식 사과가 없이 진행된 졸속 합의, 피해 당사자와의 협의 없는 일방통행식 합의,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철거 논란 등 밀실 합의는 즉각 폐기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진정한 화해와 치유는 상처를 갖고 있는 당사자에게 상처를 주는 방식으로 진행되면 안 된다. 특히 그 상처가 국가가 개인에게 준 상처일 때는 더욱 더 그렇다"고 지적했다.
그는 "피해자의 입장에서 진실을 규명하고, 책임 있는 공식 사죄, 법적 배상, 재발 방지가 따라야 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정부가 포기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무화유산 등재를 위한 예산을 긴급 편성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올해도 기억이 기록이 될 수 있도록 예산 편성을 했으며 등재를 적극 돕겠다. 아울러 남산 통감관저터에 추모를 위한 '기억의 터'를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록해야 기억되고 그래야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는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그래야 국가다. 국민이 국가에 세금을 내는 이유다"라고 말했다.
한편 박 시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개최된 제1263차 정기 수요집회에 참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