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화. /사진=머니S
올해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 정부들이 재정정책의 강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요20개국(G20)의 정부부채가 급속도로 늘면서 7경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한국의 최근 5년간 정부부문 부채 증가율은 67%로, G20 중에서는 늘어나는 속도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에 이어 빠른 편으로 나타났다.
2일 국제결제은행(BIS)이 집계한 지난해 상반기 말 기준 주요 20개국의 정부부문 순 부채(core debt)는 시장가치 기준 57조2860억달러(약 6경9030조원)다.
이는 세계 최대 경제대국인 미국의 2015년 연간 국내총생산(GDP) 18조366억 달러의 3.2배에 달하는 규모다. 명목가치 기준으로는 52조5230억달러(6경3290조원)로 이에 못미쳤다.
주요 20개국의 정부부문 부채는 시장가치 기준 2011년 말 49조4350억달러(약 5경9569조원)에서 2015년 말 52조4400억달러(6경3190조원)까지 늘어난 뒤 지난해 상반기 말까지 6개월 사이에 9.2%나 급증했다. 지난 5년간 15.9% 늘어나는 데 그친 것에 비하면 증가 속도가 빨라졌다.
지난해 상반기 말 기준 시장가치 기준 정부부문 부채가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으로 무려 18조9180억달러에 달하며 주요 20개국 정부부문 부채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이어 ▲일본(11조3850억달러) ▲영국(2조9380억달러) ▲이탈리아(2조9000억달러) ▲프랑스(2조8280억달러) ▲독일(2조6970억달러) ▲캐나다(1조2240억달러) ▲한국(5900억달러) 순으로 정부부문 부채가 많았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