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박근혜 대통령과 비선실세 최순실씨 측의 뇌물수수 혐의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자금창구로 지목된 삼성그룹의 최고위급 임원에 대한 소환조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규철 특검보는 지난 3일 브리핑을 통해 “삼성 임원진 수사는 아직 계획이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소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첫 수사 대상으로 삼성의 최씨 일가 지원 대가로 의심받는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도우미 역할을 한 국민연금공단을 선택하는 등 삼성에서 최씨 측으로 건너간 돈이 뇌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수사해 왔다.

박근혜 대통령(왼쪽)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청와대·사진공동취재단

삼성은 미르·K스포츠재단에 대기업 중 가장 많은 204억원을 지원한 것 외에도 최씨 일가에 51억원가량을 별도로 지원했다.
이와 관련 ▲장충기 삼성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대한승마협회장) ▲김재열 제일기획 사장 ▲문형표 국민연금 이사장(전 보건복지부 장관)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등이 줄줄이 소환 조사를 받았다.

특히 3일에는 조영준 일성신약 채권관리팀장이 특검팀의 요청으로 특검사무실을 찾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당시 내부적으로 검토했던 합병 관련 보고서 등을 특검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일성신약은 양사 합병으로 손해를 본 회사로 옛 삼성물산 주식 33만주를 보유하고 있었다.


조 팀장은 자료제출 뒤 취재진과 만나 “왜곡된 시장주가를 기준으로 합병비율과 주식매수가격이 산정됐다”며 “자본시장법에 따라 합병이 진행됐다고 해서 공정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의 다음 수사 대상으로 거론되는 삼성 측 인사는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이재용 부회장이다. 이 부회장에 대한 조사까지 마치면 최종적으로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