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철 특검보는 지난 3일 브리핑을 통해 “삼성 임원진 수사는 아직 계획이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소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첫 수사 대상으로 삼성의 최씨 일가 지원 대가로 의심받는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도우미 역할을 한 국민연금공단을 선택하는 등 삼성에서 최씨 측으로 건너간 돈이 뇌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수사해 왔다.
박근혜 대통령(왼쪽)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청와대·사진공동취재단
삼성은 미르·K스포츠재단에 대기업 중 가장 많은 204억원을 지원한 것 외에도 최씨 일가에 51억원가량을 별도로 지원했다.
이와 관련 ▲장충기 삼성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대한승마협회장) ▲김재열 제일기획 사장 ▲문형표 국민연금 이사장(전 보건복지부 장관)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등이 줄줄이 소환 조사를 받았다.
특히 3일에는 조영준 일성신약 채권관리팀장이 특검팀의 요청으로 특검사무실을 찾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당시 내부적으로 검토했던 합병 관련 보고서 등을 특검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일성신약은 양사 합병으로 손해를 본 회사로 옛 삼성물산 주식 33만주를 보유하고 있었다.
조 팀장은 자료제출 뒤 취재진과 만나 “왜곡된 시장주가를 기준으로 합병비율과 주식매수가격이 산정됐다”며 “자본시장법에 따라 합병이 진행됐다고 해서 공정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의 다음 수사 대상으로 거론되는 삼성 측 인사는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이재용 부회장이다. 이 부회장에 대한 조사까지 마치면 최종적으로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