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 장시호. 사진은 장시호씨. /사진=임한별 기자

장시호씨(38)가 삼성 등으로부터 부당하게 후원금을 받았다는 의혹을 시인했다. 그러나 최순실씨(61)와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56)은 해당 의혹을 부인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판사 김세윤) 심리로 오늘(17일) 열린 '최순실 일가의 영재센터 후원금 강요' 관련 첫 공판에서 장씨 측 변호인은 "강요와 업무상 횡령 혐의에 대해 인정한다"고 말했다.

세 사람은 삼성그룹과 문체부 산하 그랜드코리아레저(GKL)에 압력을 행사해 장씨가 운영하는 영재센터에 각각 16억2800만원과 2억원을 후원금 명목으로 지급하게 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강요)를 받고 있다.


장씨는 재판부가 '강요 혐의를 자백하는가'라고 질문하자 "맞다"고 대답했다. 장씨 측은 지난해 12월29일 공판준비기일에서는 "강요에 의해 (삼성이) 후원금을 냈는지는 의문이다"라며 핵심 혐의를 부인한 바 있다.

그러나 김 전 차관은 자신의 혐의를 부인했다. 김 전 차관 측 변호인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메모 등에 의하면 이 후원금은 청와대와 삼성 수뇌부의 직접 소통에 의한 지원임이 드러났다"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책임을 넘겨씌웠다.

이어 "박 대통령은 후원금 지원이 통과되기 직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독대했고, 특검도 삼성이 영재센터에 지원한 금액을 박 대통령에게 제공한 뇌물 중 일부로 본다. (삼성이 지원한) 16여억원은 김 전 차관과 관계없이 이뤄진 것"이라고 밝혔다.


최씨도 자신의 혐의를 부인했다. 최씨는 재판부가 입장을 질문하자 "인재 육성이라는 영재센터의 취지에 공감해 설립을 도와준 적은 있다. (후원 요청은) 좋은 취지에서 금메달을 향하고 있다고 하기에 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씨 측 변호인은 "영재센터가 설립되면 김 전 차관에게 설립과 운영에 대한 기업의 후원을 알아봐 달라고 했지만, 삼성과 GKL을 특정해서 (알아봐 달라고) 한 적은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 측은 영재센터 후원금을 낸 데 문체부 등의 압박이 있었다고 진술했다. 강모 삼성전자 과장은 검찰 조사에서 "영재센터에서 후원금 지급을 독촉해 급하게 지급한 것으로 기억한다. 후원금 지급 결정은 (영재센터의) 윗선에서 정리된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