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창원 의원. 표창원 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10월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안전행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생각에 잠긴 듯한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표 의원은 "그런데 정치인이나 고위급 장관들은 정년이 없고 연세도 많으신 분들이 주로 다 차지하고 계시는 현상을 보고 나는 언제 은퇴할 수 있을까 이렇게 하다가 좀 정리해서 그 생각을 쓴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표 의원은 지난 16일 페이스북을 통해 "50년간 살아오고, 28년간 다양한 공직과 교직, 연구직, 방송과 작가 생활 등을 거쳐, 1년 간 정치를 직접 해 보며 더욱 확신이 강해진 것은 대통령과 장관 및 국회의원과 지자체장 및 의원 포함 모든 공직에 최장 65세 정년 도입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표 의원은 '일반직 공무원은 정년이 있는 것인가. 선출직 공무원만 없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한 뒤 '대통령을 비롯해서 모든 선출직 공무원에 65세 정년 도입, 어떤 취지인가'라는 질문에 "선출직만 없는 것이 아니고 장관도 임명직인데 없다"고 대답했다.
그는 "정부직의 상당수가 정년이 없다. 그래서 앞서 말씀드린 것 같은 취지다. 더구나 공직 아닌가. 상당히 중요한 국민 전체에게 영향을 미치는 공직이기 때문에 만약 다른 공직에도 정년이 있다면 이 선출직, 최고위직에도 있어야 되지 않느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표 의원은 "또 하나는 하한은 있지 않은가. 대통령에 출마하려면 40세 이상이 되어야 한다. 국회의원이 되려면 25세 이상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차라리 이 하한도 없애 버리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나설 수 있고 연령 상관없이 본인 능력에 따라서 선택 받으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 정년은 도입하되 하한은 없애자, 이 말인가'라는 질문에 "아니다. 선출직의 특성을 살려서 없애려면 다 없애고, 두려면 하한 두듯이 상한도 둬야 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