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 /사진=뉴스1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기준금리를 매년 수차례씩 올려 2019년에는 중립적 금리인 3%대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미국 경제가 완전고용에 근접하고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를 향해 다가가고 있다 이유에서다.
옐런 의장은 18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캘리포니아 커먼웰스 클럽 연설에서 "중립적 금리를 향한 이동을 지나치게 오래 기다리면 인플레이션이 과도해지거나, 금융이 불안해지거나, 아니면 이 같은 일이 둘 다 일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위험 시나리오 속에서는 금리인상 속도를 높이라고 강요 받을 수도 있다"며 "이는 미국 경제를 새로운 침체로 몰고갈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경계했다.
그는 자신과 여타 정책위원들은 연준이 2019년까지 정책금리를 '매년 수차례씩'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오는 2019년말이면 중립적 금리 수준인 3%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옐런 의장은 다만 이 같은 금리인상 속도가 미국 경제의 전개 전망에 달려 있다며 "미국 경제는 방대하고 대단히 복잡하며, 그 경로는 많은 굴곡과 방향 변환을 만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옐런 의장은 미국 경제가 완전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거의 근접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미국 경제가 예상치 못한 충격에 견딜 만큼 강력한 확장세를 지속하고 있다는 확신이 들어야 하기 때문에 미국의 통화정책은 여전히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연준의 목표에 접근하고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통화정책 지원 수준을 낮추는 것은 당연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