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연령 증가, 성과 위주 승진문화 등의 영향으로 나이 어린 상사와 나이 많은 부하직원이 증가하는 추세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080명을 대상으로 ‘연하상사와 연상부하’라는 주제로 조사한 결과 64.6%가 나이 많은 부하와 근무한 경험이 있으며 이 중 49.9%가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응답했다. 이유는 ‘업무 지시가 어려워서’(42%), ‘내 의견을 무시하거나 따르지 않아서’(36.2%), ‘잘못을 지적하기 어려워서’(35.6%) 등이라고 답했다.
상사로서 나이 많은 부하 직원과 효과적으로 일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우선 거리감을 좁히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를 실천으로 옮기는 방법은 직원 자리에 가서 보고 받기, 직원의 말을 경청하며 중간에 가로막지 않기, 일대일로 가까운 카페나 공원에서 대화하기, 웃는 얼굴과 밝은 표정으로 대하기, 경조사 철저하게 챙기기 등이 있다.
서로에 대한 기대치를 명확히 하는 것도 필요하다. “박 과장님, 이 업무는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해주면 좋겠습니다”라고 기대치를 명확히 전달하고 나서 본인이 좀 더 하고 싶은 역할에 대해 묻는 식이다. 이로써 상대의 니즈를 파악해 그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역할을 맡길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기대의 명확화’를 통해 쓸 데 없는 오해를 줄일 수 있으며 자신의 역할을 명확하게 인식해 목표에 집중할 수 있다.
더불어 강조하건대 상사로서의 역할을 신분으로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 직급이 높다고 나이 많은 부하에게 반말을 하거나
나이 많은 직원과 일하는 방법도 결국 다르지 않다. ‘거리감 좁히기’, ‘기대의 명확화’, ‘존중의 화법’ 등으로 그의 입장과 감정을 고려하고 존중하라. 그러면 그도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결국 나이 많은 직원을 존중하는 것은 그를 위한 것이라기보다 상사 자신을 위한 것이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74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