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자료사진=임한별 기자

자동차 분야 최고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최초의 정책 컨트롤타워가 결성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주형환 장관 주재로 자동차산업 정책을 총괄하는 민관 합동 '자동차산업 발전위원회'를 출범하고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위원회는 산업부 장관, 자동차 업계 대표, 전문가 등 산·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미래 자동차 경쟁력 강화와 통상이슈 대응 등 중장기적인 발전 전략을 논의하고 협의하는 역할을 한다.

주형환 장관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자동차산업은 중대한 전환기에 서 있다”고 진단한 뒤 “자동차산업 수출구조의 혁신을 위한 전략적인 통상정책이 중요한 만큼 미국 등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각적으로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급변하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7대 발전전략 어젠다를 제시했다.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는 우선 현재 800여개 부품기업에 보급된 스마트공장을 민·관 협업을 통해 2020년까지 3배 이상인 2500곳 수준으로 확대하는 등 4차 산업혁명에 대응 역량이 부족한 부품중소기업들을 중점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 자율차 센서 등에 약 1100억원의 연구개발(R&D)를 집중 지원하고, 미래차 분야 400여명의 융합형 인재도 양성한다.

전기차의 경우에는 현재 누적 1만기의 충전인프라를 올해 말까지 2만기로 두 배 늘리는 한편 다양한 인센티브도 확대해 전기차가 신차 시장의 1% 수준으로 보급되는 대전환점을 만들 계획이다.

또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확산하기 위해 자동차 융합얼라이언스에서 도출된 공동 R&D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업체간 전략적 제휴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장을 만들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제시된 자동차산업 발전 7대 정책 어젠다에는 미래 자동차의 경쟁력 강화, 자동차 부품산업의 생태계 혁신과 융합 촉진, 산업발전과 환경·안전 규제의 조화, 국제수준에 부합한 노사관계 정립 등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