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임한별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수출 연속 증가세에도 경기 전망에 대해 낙관할 수만은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기조가 분명하고 영국도 브렉시트(EU와의 완전한 분리)를 선언하는 등 국제 통상환경이 급변하고 있어서다.
이 총재는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새해 들어 한 달여 사이에 기존 세계무역 질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리나라 수출은 지난해 11월부터 1월까지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1월에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2% 늘어나 2013년 1월 이후 4년 만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수출이 늘면 설비투자 등 내수 회복에 기여할 수 있지만 미국과 영국 등 글로벌국가의 변동성이 워낙 커 낙관하긴 힘든 상황이다.


먼저 미 트럼프 행정부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을 추진 중이고 최근엔 트럼프 대통령이 독일·중국·일본에 대해 환율 조작을 경고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정책 기조를 분명히 하고 있다. 여기에 영국 메이 총리는 지난달 브렉시트를 공식화했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는 수출 비중이 GDP의 40%대로 매우 높다"며 "요즘과 같이 심리 위축으로 민간소비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수출 부진은 곧바로 성장 부진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또 "어려워지고 있는 무역환경에 대한 대응과 준비는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정부도 상황의 긴박함을 인식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민간 부분과의 긴밀한 공조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신승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장, 이재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구미·유라시아본부장, 이한영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 정영록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조영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시장동향분석실장,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국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 등 민간 통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