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호 분당 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사진=차병원

이창호 분당 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소아 선천성 진주종 최다 수술 기록을 달성해 세계 이과학회 공식 저널인 ‘이과학-신경학’에 게재됐다.
9일 차병원에 따르면 이 교수는 2016년 기준 680차례 소아 선천성 진주종 수술을 진행했다. 이전까지 선천성 진주종 최다 증례 보고는 Potsic 미국 필라델피아 소아병원 박사가 2002년 172례를 보고한 것이 최다 증례 보고였다.

진주종은 피부 상피조직이 중이강과 유양동 내로 침입해 각질을 축적하면서 주위의 뼈나 연부조직을 파괴하는 질환으로 원인에 따라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뉜다. 


소아 선천성 진주종은 소아 청각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후천성 진주종보다 발병 연령이 매우 낮고 계속 커지기 때문에 조기수술이 필요하다. 특히 귀 속에 있는 가장 작은 뼈인 이소골 부위를 수술하기 때문에 까다로운 치료가 요구된다.

보통 성인 진주종의 수술방법을 소아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진주종 제거를 위해서 이소골과 유양동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소골을 제거할 경우 수술 후 청력손실이 더 심해지고 유양동을 제거할 경우 평생 귀에서 이루가 있을 수 있어 특히 소아에서 조기 수술이 어려웠다.


이에 이 교수는 레이저를 사용해 수술 시간과 재발률을 획기적으로 낮춘 ‘최소 절개 레이저 진주종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4기 진주종인 경우도 귓구멍 안으로 수술하고 귀 뒤를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시간, 입원기간, 회복기간이 짧으며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3기 이상 진주종의 경우에는 2차 수술 없이 제거한 이소골을 다시 연결하기 때문에 청력의 보존 또한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