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말정산 시즌을 맞아 예상 환급금을 조회해본 직장인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환급금을 넉넉히 받아 '13월의 보너스'를 누린 사람이 있는 반면 오히려 높은 세금을 토해내는 경우도 있기 때문. 이처럼 연말정산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했던 사람이라면 올해는 일찌감치 본격적인 '세테크'를 시작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직장인에게 가장 효과적인 세테크 금융상품은 단연 연금저축이다. 연금저축은 노후소득 마련과 함께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직장인들이 챙겨야 할 1순위 금융상품이다.


'보험다모아' 해지환급금 예상 비교 화면.

연금저축은 연간 400만원 한도로 소득에 따라 13.2% 또는 16.5%의 세액공제를 제공해 총 급여액이 5500만원 이하일 경우 연간 최대 66만원까지 절세가 가능하다. 연금저축의 종류는 연금저축보험(보험사), 연금저축펀드(증권사), 연금저축신탁(은행) 총 3가지로 이 중 연금저축보험은 원금보장과 예금자 보호로 안정적이며 복리로 운영돼 인기가 높다.

연금저축보험 가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보험상품의 '사업비' 개념을 알고 있는 것이 좋다. 사업비는 월 납입금에서 보험설계사 수당, 점포유지비, 마케팅비용 등 보험사가 가져가는 비용으로 0.1%의 차이라도 납입기간이 10년 이상 길어지면 금액이 결코 적지 않다.
인터넷으로 직접 가입하는 연금저축보험의 경우 대면채널 상품 대비 설계사 수수료 등이 없어 사업비가 낮으므로 장기적으로 수익률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현재 가입자가 사업비 규모를 정확히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없지만 대략적으로 가늠해볼 순 있다. 바로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가 운영하는 온라인보험슈퍼마켓 '보험다모아'에서 환급률을 비교해보는 방법이다.

환급률이란 납입보험료 대비 해지환급금 수준을 나타내며, 환급률이 높을수록 사업비가 낮은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환급률 비교를 통해 내게 맞는 연금저축보험을 선별해 올해는 '13월의 보너스'에 도전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