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 대선출마 선언. 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 /자료사진=뉴시스

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이 자유한국당(전 새누리당)에 입당해 대선출마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15일) 김진 전 위원은 라디오인터뷰에서 “보수세력에 대안이 없는 것 같아 감히 나서게 됐다”며 대선출마를 결심한 이유를 밝혔다.
김진 전 위원은 이날 SBS라디오 박진호의 시사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전 위원은 “사실 제 소원은 평생 언론인으로 남는 것이었다. 그런데 나는 보수 언론인 아닌가? 지난해 4월 총선에 보수 정권이 참패하는 것을 보고 이러다가는 정권이 넘어갈 수도 있겠다는 걱정을 하기 시작했다”며 대선출마 결심에 이른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현실적으로 많은 보수 세력이 기대했던 반기문 총장이 좌절하지 않았나. 제가 판단할 때는 보수의 많은 세력이 정말 대안이 없는 것 같다… 그래서 감히 내가 나서야겠다고 결심했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은 앞서 인명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이 깜짝 놀랄 후보를 언급한 것이 자신인지를 묻자, “글쎄, 텔레파시가 통한 것 같다. 어떤 인물을 구체적으로 염두에 두셨는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은 지난해 말 중앙일보에서 퇴사한 경위도 설명했다. 그는 “제가 몸담았던 곳이라 구체적인 사정을 말씀드리는 것은 매우 조심스럽다. 그러나 다만 한 가지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제가 퇴사를 원했던 것은 아니다. 회사가 퇴사를 결정했고 저는 깨끗이 받아들였다”며 자의에 따른 은퇴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최근 분당한 바른정당이 아니라 자유한국당으로 입당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어느 정당이나 정치 세력이 역사적으로 커다란 잘못을 저지를 때가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어떤 보수나 진보의 주류 세력으로 존재하고 있는 정당이 그 정당의 정체성이나 주류의 의미 자체를 상실하지는 않는다”며 자유한국당이 주류 보수정당의 정체성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김 전 위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역사를 거론하기도 했다. 그는 “노무현 정권 말기에 대통령과 정권과 정당의 지지율이 폭락하지 않았나… 현재 야권, 진보 세력의 주류는 누가 돼 있나? 더불어민주당 아닌가. 이런 곡절과 흥망성쇠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전 위원은 “전투에서 졌다고 해서, 그런 흥망성쇠가 있다고 해서 주류에서 이탈할 정도의 세력은 자유한국당이 결코 아니다. 자유한국당은 멀게는 우리 박정희 대통령의 공화당, 그리고 민자당, 그리고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이런 보수의 주류 정당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주류의 본태 정당”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전 위원은 바른정당에 대한 비판도 망설이지 않았다. 김 전 위원은 탈당 주축이었던 비박계의 심정을 이해한다면서도, “그것이 나라가 이렇게 어려울 때에 주류의 본산인, 보수의 본산인 자유한국당에서 이탈해서 새로운 정당을 만들 수 있는 명분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원내대표 경선에서 사실 바른정당 세력이 패배했다. 경선에 참여하고 패배한 다음에 탈당하는 것은 저는 옳지 않은 일이다. 그때 이런 판단을 내렸다”며 탈당에 반대한 이유를 설명했다.

김 전 위원은 앞서 자신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서 대통령 역시 피해자라고 주장한 데 대한 질문도 받았다. 그는 “최순실이 케이스포츠 재단이나 미르 재단의 창립 등을 이용해서 개인적으로 이득을 취하려고 하는 계산을 대통령이 몰랐다면 피해자 아니냐”며 박 대통령을 옹호하는 논변을 펼쳤다.

다만 박 대통령에 대한 옹호와 자유한국당을 선택한 것 사이의 연관성은 부정했다. 김 전 위원은 “역대 대통령 10명을 전부 취재하거나 겪었다… 그 과정에서 깨달은 것 중 하나는 정말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정치는 주류 세력에 몸담아서 하는 게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이라며 자유한국당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무언가를 이룰 수 있고, 책임도 질 수 있고. 그래서 실제로 국정의 주도 세력 속에 뛰어들어서 부닥치고 고민하고 공부하고 일해야, 그래야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고 또 나라에 대해서, 국정에 대해서 책임도 질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며 주류세력에 가담해야 하는 이유를 부연하기도 했다.

한편 김 전 위원이 대선출마 선언을 하게 되면 자유한국당 대선 주자는 이인제 전 최고위원, 원유철 전 원내대표, 안상수 의원 등과 함께 모두 4명이 된다. 이밖에도 출마선언을 고려하고 있는 다른 후보들도 거론되고 있어, 자유한국당 경선은 다수 후보들 간 대결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