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배치 추진에 따른 중국의 보복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들에 긴급경영안전자금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식품, 철강, 전기·전자 등 13개 업종별 협회와 7개 무역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제9차 한중 통상점검 태스크포스(TF)’를 열고 이같은 방안 등을 결정했다.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9차 한중 통상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주재하기 앞서 생각에 잠겨 있다. /사진=뉴스1
정부와 업계는 이날 회의에서 사드보복 조치에 따라 피해를 본 우리 기업을 돕기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대상에 보호무역 피해 기업을 추가하고 기업당 최대 5년간, 최대 10억원을 융자해 주기로 했다.
이에 따라 중국 현지 롯데마트 등에 납품했다가 피해를 입은 국내 협력업체들이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정부는 또 중국 법규 교육 등의 정보 제공과 인증·마케팅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앞으로 한중통상점검 TF를 통해 수시로 업계 애로를 점검하고, 중국내 상황에 대해 신속 대응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드배치는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한 주권적, 자위적 방어조치다”며 “중국의 부당한 조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국제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