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개헌. 사진은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사진=임한별 기자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는 오늘(15일) 개헌 시점과 관련, "국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다음해 지방선거 때 국민 투표에 붙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정치개혁공약을 발표한 이후 기자들이 개헌을 질문하자 "개헌은 이미 말한 바 있다. 이번 개헌은 국민 공론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1987년 개헌을 생각하면 국민이 스스로 만들었다는 자부심이 있다. 그래야 헌법에 대한 자부심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 번 개헌이 되기까지 30년이 걸린 만큼 앞으로도 긴 기간 힘든 상황이 올 것"이라며 "내가 여러 번 말했듯이 내년 지방선거 때 함께 국민 투표에 붙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국민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개헌은 반대한다"며 "자유한국당은 특히 대통령 파면 결과를 보면 석고대죄를 해도 모자를 판에 소속 의원들이 공공연하게 헌법재판소 불복종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런 사람들이 개헌을 말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국민 공론화 방법에 대해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며 "국회에서 합의를 거쳐 합의안을 만들고 국회에서 통과가 돼야 한다. 이 안에 대해 공청회보다 더 큰 TV 토론을 통해 의견을 결집시키고 여론조사 등을 통해 방향을 어느정도 잡은 다음에 (국민) 투표에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우택 자유한국당, 주승용 국민의당,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조찬 회동을 열고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헌안을 이르면 이번 주 중 발의, 국회 본회의 의결을 거쳐 대선 당일 개헌을 위한 국민 투표를 실시하는 데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