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4차 산업혁명과 뉴 ICT 생태계 확산을 주도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등 미래 핵심사업과 기술 연구조직을 강화하는 방향의 조직개편을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SK텔레콤은 전사의 AI 관련 역량을 결집해 CEO 직속으로 AI사업단을 신설한다. AI사업단은 기술 확보, 서비스 기획·개발, 사업 확대 등 AI 관련 모든 영역을 총괄하는 자기 완결적 구조를 갖췄다.


SK텔레콤은 2012년부터 AI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지난해 9월 AI서비스 ‘누구(NUGU)’를 출시해 7개월 만에 약 7만명의 고객을 확보하는 등 국내 관련 생태계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 개편을 통해 SK텔레콤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AI사업을 추진하며 이와 연계한 자율주행차, AI비서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뉴 ICT산업’의 핵심인 AI, 사물인터넷(IoT), 미디어분야에서의 차세대 기술 확보와 관계사, 글로벌 선도기업, 강소기업과의 기술 협력체계도 강화한다.

SK텔레콤은 ICT전반에 대한 기술 역량 강화 및 관계사와의 기술 시너지를 모색하기 위해 ICT기술총괄을 차세대 미디어 기술 확보를 위해 종합기술원 산하 미디어기술원을 신설하며 기존 AI기술 연구조직도 AI사업단 산하 AI기술1·2본부로 확대 재편한다.


SK텔레콤은 그룹 차원의 ICT역량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ICT기술총괄로 AI·SW전문가인 이호수 SK C&C DT총괄을 선임했다. 또 AI사업단장으로 이상호 SK플래닛 CTO를, AI기술2본부장으로 이현아 SK플래닛 대화형커머스 본부장을 선임했다.

미디어기술원장은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이 겸임하며 AI기술1본부장은 박명순 미래기술원장이 맡는다.

이 밖에 SK텔레콤은 고객중심경영실을 CEO직속으로 편제해 전사 관점에서의 고객경영활동을 강화한다.

이번 조직 개편으로 SK텔레콤은 AI, 사물인터넷(IoT), 미디어 등 미래 핵심사업 성장에 집중하는 한편 ICT패러다임의 빠른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강하게 실행할 수 있는 조직 구조를 갖추게 됐다.

이를 통해 국내 최초 국가고객만족도 20년 연속 1위에 만족하지 않고 더 높은 수준의 고객중심경영을 실천한다는 계획이다.

박정호 SK텔레콤 박정호 사장은 “글로벌 톱 수준의 기술 역량과 생태계를 누구보다 빨리 확보해야만 급변하는 뉴 ICT패러다임을 주도하고 생존을 넘어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핵심 영역에 집중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모든 힘을 하나로 결집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했으며 향후에도 사업 성공을 위한 변화를 과감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