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동물뼈 유골. 28일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감식팀 관계자들이 감식장비를 들고 해경 경비함정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월호 인양 과정에서 발견된 유골이 동물뼈로 밝혀져 해양수산부 대응에 비판이 일고 있다. 어제(28일)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인양 작업 도중 미수습자 유해로 추정되는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으나,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감식팀 확인 결과 동물뼈로 확인됐다.
이날 해수부는 긴급 브리핑을 열어 "오전 11시 25분쯤 반잠수식선박 갑판 위에서 미수습자로 추정되는 4∼18㎝ 크기의 유골 6조각이 신발 등 유류품과 함께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신원확인을 위해 투입된 국과수 광주연구소 법의학팀의 감식 결과 발견된 유골은 동물뼈 7점으로 드러났다. 추가 식별이 필요하나 모두 돼지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진 뒤 미수습자 유족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들은 유골을 확인하기 위해 국과수 직원들과 세월호를 실은 반잠수식 선박까지 동행했으나 유해가 아니라는 판단을 들어야 했다.
이날 일로 해수부 대응에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유골이 선체가 아닌 반잠수식 선박 갑판에서 발견돼 유실 방지 대책이 부실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배수 과정에서 뼈가 흘러 나왔다면 유실방지망이 제 구실을 못한 셈이기 때문이다.
유골 발견 후 섣불리 유해로 추정한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미수습자 가족들이 3년이 넘게 인양을 기다리는 등 극히 민감한 사안에 너무 성급히 접근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유해 발견 등에 대비해 전문 인력을 미리 준비했어야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해수부는 오전 유골 발견 후 오후 7시가 돼서야 감식팀을 팽목항에서 선박으로 출발시켰다. 감식팀은 이후 50분이 지나 현장에 도착해 유골이 동물뼈임을 확인했다. 선체 인양 과정에서 감식, 현장 확인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인력이 동반됐다면, 이같은 일을 피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