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마을 화재. 지난 29일 오전 8시51분쯤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 제7B지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뉴시스

구룡마을 화재와 관련해 서울시가 피해자의 주거안정을 위한 특별지원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지난 29일 구룡마을 화재로 주택이 소실된 26가구 피해 주민들에게 임대주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적십자사 등에서 지원하는 이불과 쌀 등 생활필수품이 부족할 경우 서울시가 추가 지원한다. 주민주거안정을 위한 필요경비도 집행한다.

서울시는 "강남구청과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참여하는 '화재 이재민지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피해 주민들의 생활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화재로 일부 피해를 입은 세대에 대해서는 즉시입주 가능한 서울시 소유 재개발 임대주택이나 공사 보유 다가구 임대주택 등을 임시이주용 주거시설로 제공한다.

앞서 지난 29일 서울 강남의 무허가 판자촌 구룡마을 화재는 야외용 가스히터를 손질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불로 주민 김모씨(70)가 연기를 들이마셔 병원으로 이송됐고, 어지럼증을 호소한 오모씨(64·여)와 연기를 들이마신 김모씨(54)는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받았다. 또 빈집 3곳을 포함해 29가구가 불에 타 43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펌프 등 장비차량 59대와 19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진화작업을 벌여 오전 10시46분쯤 불길을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