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의 엄마 중 8명은 스스로 나쁜 엄마라고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아용품 전문기업 쁘띠엘린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육아의 어려움과 스트레스 해소 방법 등을 알아보기 위해 36개월 이하 아이를 키우는 육아맘 41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에 따르면 엄마들 10명 중 8명 이상(85.1%)이 ‘스스로 나쁜 엄마라고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아이에게 짜증이나 화를 내게 될 때’가 70.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아이와 떨어져 있고 싶거나 혼자 있고 싶을 때(16.6%)’, ‘완모 등 기대했던 것을 하지 못했을 때(4.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지쳐서 아이에게 동영상을 보여줄 때’, ‘피곤해서 아이 혼자 놀게 방치할 때’ 등의 답변이 있었다.

◆ 육아맘 50%, 15시간 이상 육아에 매달리고 70%는 개인시간 1시간 미만

또 응답자 2명 중 1명(50.2%)은 하루 15시간 이상 육아에 매달리는 것으로 답했으며, 그 중 18시간 이상을 육아에 할애한다고 답한 비율도 22.2%에 달했다. 육아와 삶의 균형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유시간을 묻는 질문에는 68.3%가 2~3시간이 적당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69.5%는 실제 개인 시간이 하루 채 1시간도 되지 않아 이상과 현실의 차이가 컸다.

그리고 육아맘의 97.1%는 육아 스트레스를 경험한 적이 있으며, 육아에서 특별히 힘든 부분으로는 ‘나를 위한 개인적인 시간이 없는 것(52.7%)’, ‘가사 분담, 독박육아 등 남편과의 갈등(23.9%)’, ‘수면 부족과 체력 저하 등 건강 문제(13.7%)’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육아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으로는 ‘육아 커뮤니티나 SNS 등 온라인 소통’이 42.7%, ‘주변 사람들과의 만남’이 19.8%로 집계돼 비슷한 상황에 있는 이들과 서로 공감하는 과정이 실제 육아 스트레스 해소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TV 시청, 집에서 휴식(13.7%)’, ‘개인적인 취미생활(11.2%)’, ‘아이와 떨어져 혼자 있는 시간 확보(9.0%)’등이 있었으나 ‘남편과의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한다는 응답자는 1.2%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