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 따르면 전경련은 지난달 17일 총회에서 39개 기업 또는 단체를 신규회원으로 가입하는 안건을 처리했고 이중에는 주한미국상공회의소·주한영국상공회의소 등 해외경제단체가 포함되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 /사진=뉴스1
전경련은 이어 지난 28일에도 다시 한번 전경련에 해외경제단체가 신규회원으로 가입했다고 언론을 통해 알렸다.
하지만 경실련이 확인한 ‘2016년 전경련 회원가입서’(11월 11일) 상에 있는 회원리스트에 의하면 보도된 기업이나 단체 중 일부는 이미 소속된 단체들을 새로 가입한 것처럼 눈속임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실련이 총회에서 신규회원으로 가입하는 안건으로 처리한 39개 기업 또는 단체 중에 보도내용에 이름이 언급된 12개를 기존의 회원리스트와 비교한 결과 ▲삼양인터네셔널 ▲매일유업 ▲한화자산운용 등 10개는 이미 회원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고 주한인도상공회의소와 한불상공회의소 2개만이 리스트에 없는 단체로 판명됐다.
게다가 새로 가입승인 했다던 농협하나로유통은 한달만인 지난 17일 전경련 탈퇴통보를 했다. 또 해외경제단체인 주한미국상공회의소와 주한유럽상공회의소는 이미 1999년에 전경련 가입할 예정이라는 내용의 기사가 보도된 바 있다.
경실련 관계자는 “전경련이 해외경제단체를 포함해 여러 기업들이 새로 가입해 입지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으나 얄팍한 눈속임에 불과했다는 게 드러났다”며 “최근 대국민 사과와 함께 구조재편과 조직명 변경 등 전면적인 쇄신안을 내놓았지만 실제로 진정한 쇄신의 움직임은 찾아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전경련은 눈속임을 통해 국민을 기만하려는 거짓 쇄신을 멈추고 자발적인 해체를 통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으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