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제주 4.3 사건. 사진은 제주 4.3 평화공원 위패봉안실. /사진=뉴스1
정의당은 오늘(3일) "제주 4.3항쟁이 69주년을 맞았다"며 "먼저 4.3항쟁 69주년을 추념하며, 희생자들의 명복을 빈다"고 추념했다.
추혜선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는 죄 없는 민간인을 대상으로 행해진 국가 권력의 잔인한 폭력으로, 수만명이 희생됐던 근현대사의 비극"이라고 지적했다.
추 수석대변인은 "노무현 전 대통령은 국가의 책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사과했다. 그러나 이명박근혜 정권 9년 동안, 희생자들의 명예는 다시 훼손당했다. 수구보수 정권의 묵인 아래, 희생자들에게 색깔론을 덧씌우는 군사정권의 망령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역사를 왜곡하고 죄 없는 희생자들의 명예를 훼손하는 악행을 좌시해서는 안 된다. 이제 제주도민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 이미 제정된 '제주 4.3 특별법'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아직 드러나지 않은 진상들을 책임 있게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 수석대변인은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한 방안과 배·보상책도 마련해야 한다. 피해자였던 제주도민의 요구를 최우선적으로 담아내는 제도적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의당은 그릇된 과거를 씻어내고 진실을 회복함으로써, 4.3항쟁이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앞장설 것이다. 다시 한 번 제주 4.3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며 유가족들을 위로하는 바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제주 4·3 사건은 지난 1948년 4월3일부터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일어난 도민 학살 사건으로, 제주도민이 3만명에서 최대 8만명 가까이 희생된 대참사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