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오늘(24일) 서울 영등포구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문 후보는 오늘(24일) 서울 영등포구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역사문화벨트조성공약 기획위원회', '광화문대통령공약 기획위원회' 출범을 선언했다. '광화문 대통령' 구상 실현을 위한 위원회다.
'서울역사문화벨트조성공약 기획위원회'는 유홍준 전 문화재청 청장이, '광화문대통령공약 기획위원회'는 박금옥 전 대통령비서실 총무비서관이 위원장을 맡게 됐다. 이밖에도 승효상 건축가, 안병욱 가톨릭대학교 교수, 황지우 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임옥상 화백 등이 참여한다.
문 후보는 "광화문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광화문 정부청사로 단순히 장소만 이전한다는 의미가 아니다"며 "불통의 시대를 끝내고 국민들 속에서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고, 국민들과 함께하는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대통령이 참모들과 같은 업무공간에서 일하면서 언제나 교류하고 소통하는, 국민과 머리 맞대고 토론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는 의미"라며 "대통령이 언제라도 비서들 방에 들러서, 그 때 그 때 필요한 논의들을 현안에 맞춰 해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청와대는 경복궁, 광화문, 서촌, 북촌, 종묘 이렇게 이어지는 역사문화거리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며 "광화문광장 재구성도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광화문광장을 시민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위치를 재조정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육조거리를 부분적으로 복원하고, 민주주의 광장으로 역할도 살려 내는 그런 재구성 작업이 필요하다"며 "용산 미군기지가 반환되면, 뉴욕 센트럴파크 같은 생태자연공원을 조성하겠다. 북악산에서 한강까지 역사·문화·자연이 어우러지는 벨트가 조성돼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거리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 전 청장은 "청와대 집무실을 어디로 옮기냐가 첫 번째 문제인데, 정부종합청사를 쓰는 것이 의미가 있지만 경호 등 문제가 있다"며 "광화문 인근 정부 측 건물을 쓰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 관저가 가진 나라의 상징성이 있다. 건물이 국가의 존엄을 보여주는 공간이어야 한다"며 "이것을 염두에 두고 광화문 인근에 있는 정부의 건물 중에서 선택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