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월평균 임금 200만원 이하를 받는 근로자가 전체의 절반 정도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오늘(25일) 발표한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하반기 기준 전체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1968만7000명을 임금수준별로 살펴보면 100만원 미만이 11.4%, 100만~200만원 미만이 33.8%를 차지해 200만원 미만이 45.2%에 달했다.
이어 200만~300만원 미만이 26.4%, 300만~400만원 미만이 14.2%, 400만원 이상이 14.3%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농림어업숙련종사자, 판매종사자의 경우 100만~200만원 미만인 임금근로자 비중이 각 52.5%, 46.6%, 45.2%, 44.4%로 대부분 저임금 상태였다.
기능원및관련기능종사자, 장치·기계조작및조립종사자, 사무종사자는 200만~300만원 미만이 각각 41.7%, 40.3%, 29.4%였고, 관리자는 400만원 이상 비중이 76.7%로 높게 나타났다.
산업대분류별로 살펴보면 농림어업에서 1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이 4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숙박 및 음식점업(29.8%), 예술·스포츠및여가관련서비스업(23.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1.3%)도 100만원을 채 못 받는 근로자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사업시설관리및사업지원서비스업, 숙박및음식점업은 100만~200만원 미만이 각각 55.3%, 49.2%였다. 건설업, 운수업, 제조업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각각 36.2%, 33.7%, 32.4%로 나타났다.
400만원 이상 고임금을 받는 근로자는 전문, 과학및기술서비스업(34.6%), '금융및보험업'(32.1%), '출판, 영상, 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29.4%) 등에서 많았다.
빈현준 고용통계과장은 "이번 조사는 자영업자나 사업주를 제외한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농림어업, 숙박및음식점업 등의 경우 일용, 단순 노무자가 많아 저소득자의 비중이 높고, 반면 금융, 전문기술업종에 고소득자들이 몰려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