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사드. 사진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사진=임한별 기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오늘(2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에 대해 "다음 정부에서 새롭게 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드 비용 1조원 카드를 꺼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요구, 북한의 위협 사이에 끼어 있는 샌드위치 신세로 사실상 주도권을 상실한 코리아패싱 현상이 더 심각해지는 것 아닌가. 이런 우려도 제기가 된다. 이 부분은 앞으로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한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그는 "이렇게 된 데에는 무조건 사드 배치를 해야 한다. 그것도 이 정권 교체 이전에 서둘러서 배치를 해야 한다. 그리고 사드 배치에 대해서 다른 의견을 말하는 것은 종북이다. 이런 식으로 몰아간 현 정부와 주요 정당들과 대선 후보들조차도 사드는 무조건 찬성해야 한다. 국회의 비준 동의도 필요 없다. 이런 식의 태도가 자초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사드 배치 일정 끝난 것이 아니다. 다음 정부에서 새롭게 검토되고 결정돼야 한다. 그런 과정에서 외교적 노력과 함께 국내적으로 공론화와 특히 국회 비준 절차도 거쳐야 한다. 이런 입장을 분명히 세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만 트럼프 대통령의 그런 요구에 우리가 당당하게 맞설 수 있는 외교적인 카드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문 후보는 사드 배치를 차기 정부에서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인데 이미 경북 성주군에 배치가 된 상황이다. 만약 차기 정부에서 사드 배치를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이미 배치된 사드를 철수시킬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그는 "사드 부품들이 일부 들어왔다고 해서 사드 배치 문제가 완전히 끝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지금 단계에서는 사드 배치를 무조건 한다. 또는 철회하거나 반대한다. 이런 입장을 미리 정해줄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드 배치는 북한 핵에 대한 대응이다. 이 북한 핵에 대한 대응에서는 우리나 미국이나 이해관계가 같다. 그래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북한 핵에 대한 방어를 넘어서서 북한 핵을 완전히 폐기해 내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일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북한 핵의 폐기까지 내다보면서 북한에 대해서 압박하고 중국에 대해서도 중국으로 하여금 북한에 압박하게 만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외교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라도 사드 배치에 대한 최종 결정 권한을 다음 정부가 가지고 다음 정부가 그것을 다양한 외교 카드로 활용하는 그런 식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