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현대경제연구원
우리나라 일터에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취업자 연령이 해마다 높아지는 반면 2030대 취업자 비중은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현대경제연구원 '산업 일꾼들이 늙어간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취업자 평균연령은 최근 5년(2010~2015년)간 2.1세 높아진 41.1세로 집계됐다. 이는 1995~2000년 1.2세, 2000~2005년 1.4세, 2005~2010년 1.3세 등 그동안의 평균연령 상승폭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증가속도다.
특히 전체 고용자 중에서 중장년층과 고령자의 취업자 비중이 빠르게 늘어났다.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1995년 2.2%에서 2000년 3.0%, 2005년 4.2%, 2010년 4.2%, 2015년 6.5%까지 급증했다.
반면 29세 이하 취업자와 30대 취업자 비중은 크게 감소했다. 29세 이하 취업자 비중은 1995년 36.4%로 전체 고용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2000년 31.6%, 2005년 26.9% 2010년 22.3%, 2015년 18.0%로 20%대를 하회했다.
30대 취업자는 1995년 32.5%, 2000년 33.4%, 2005년 33.6% 2010년 34.1%로 매년 증가하다 2015년에 29.8%로 급감했다.
업종별로는 농림어업(45.1세), 광업(49.2세) 등 1, 2차 산업에 종사하는 취업자와 부동산임대(54.6세), 운수업(46.9세), 하수폐기물(46.4세) 등 산업 종사자들이 40대 중반 이상으로 조사됐다.
출판영상방송(36.6세), 전문과학기술(38.5세), 금융보험(38.7세) 등에 종사하는 취업자 평균연령은 30대로 대체로 젊은 편에 속했다.
보고서는 고령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 청년실업문제 해결을 통한 노동력 고령화 지연, 고령 노동력의 생산성 유지 및 고령 친화적 근무여건 개발, 생산성과 임금 연동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고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른 업종의 경우 젊은 양질의 노동력이 줄어들 경우 향후 국가 생산성 향상 속도까지 둔화될 수 있다"며 "청년 실업 문제 해결을 통해 노동력의 고령화를 지연시키고 경제 내에 꾸준하게 젊은 노동력이 유입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고령자들이 오랜 기간 동안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체계 강화, 건강유지 등을 위해 노력하고 고령자들에게 친화적인 근무 여건을 개발해야 한다"며 "산학연계 등을 통해 고졸 청년층의 취업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대학생 창업 활성화 등을 지원해 청년 실업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