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지난 4일 서울역에 마련된 사전투표소. /사진=임한별 기자

이동통신사들은 오늘(8일)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하루 앞두고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선거 당일 카카오톡·트위터·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해 모바일 개표 방송을 시청하는 등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전국 투·개표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당 당사 등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는 지역의 기지국 용량을 늘렸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선 관련 트래픽 폭증에 대비해 특별소통 상황실도 운영한다. 상황실을 통해 돌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통화량 폭주 △망 장애 △정전 등에 대응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투표 종료 및 예상 당선자 발표 시각에 맞춰 비상 근무 인력들이 각 투·개표소의 통화 품질 등을 집중 관리한다.

KT는 중앙선관위의 투표 집계 및 정보 전달에 이용되는 '선거통신망' 관리를 최우선 순위에 올렸다. 각 개표소의 개표 상황이 유선으로 중앙선관위에 전달되는데 여기에 KT의 유선망이 '선거통신망'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KT 관계자는 "선거통신망은 일반 국민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와 별개의 망으로 운용된다"며 "3월 하순부터 선거통신망 안전 운용을 위해 내부적으로 '대선안전운용 프로젝트'를 가동 중"이라고 전했다.

KT는 일반 국민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트래픽이 몰릴 경우를 대비한 모니터링도 소홀히 하지 않을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서울 마포구 상암동 사옥에 종합 상황실을 열고 선거일을 전후해 데이터 트래픽 증가 및 장애 발생 상황에 대비한 현장 감시 체계 강화에 들어간다.

이미 SNS 사용, 동영상 시청, 통화 증가에 대비한 내부 네트워크 점검을 마쳤으며, 선거를 방해할 수 있는 디도스(DDos) 공격 차단 대응 방안도 마련했다.

업계 관계자는 "LTE(롱텀에볼루션) 기지국이 많이 생겼고, 지난해 대규모 인원이 몰렸던 촛불집회 경험도 있어서 이동통신사들의 관리 노하우가 2012년 대선 당시보다 나을 것"이라며 "하지만 한순간도 방심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