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역에 시범 설치된 디지털 표지판 /사진=코레일 제공
코레일이 디지털방식 열차 승차위치 안내판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승객들의 이동거리가 단축돼 편의가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새로 설치되는 ‘동적(動的) 호차표시기’는 시스템에 미리 입력된 편성 정보에 따라 도착 예정 열차의 호차정보를 자동으로 표출하는 디지털 호차 안내표지판이다.
새 표지판은 지난해부터 호남‧전라선의 거점 환승역인 익산역에서 시범운영을 거쳤고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코레일은 이용객이 많은 광명역 하행 승강장 두 곳에 9개씩 모두 18대를 설치할 예정이다.
익산역에서 시범 운영을 거쳐 전국으로 확대되는 디지털 표지판 /사진=코레일 제공
그동안 철도역 승강장에는 승차 위치(호차)를 안내하는 고정식 표지판이 설치됐다. 하지만 KTX, ITX-청춘 등 열차가 새로 생길 때마다 호차 표지판의 글자 크기가 점점 작아지며 가독성은 떨어졌다. 고정식이라 고객의 동선이나 승강장 상황에 맞게 승차 위치를 조정할 수도 없었다.
이에 코레일이 새로 설치하는 디지털 표지판은 열차에 맞춰 승차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글자 크기가 커지면서 시인성이 높아진다. 또한 열차가 새로 도입될 때마다 안내표지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광명역 승차위치 조정 /자료=코레일 제공
한편 코레일은 광명역 이용고객의 패턴을 분석하여 동적 호차 표시기 설치 후 KTX-산천 열차의 정차위치를 승강장 중앙으로 옮기기로 했다. 정차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친 현재보다 고객 이동 동선이 150m 가량 단축되는 등 이용자 편의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