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수치상 연체액은 늘었지만 자산건전성은 오히려 개선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보통의 경우 전년도 말 대비 1분기 연체율이 늘어나기 때문인 데다 1년 전 수치와 비교하면 연체율은 떨어지는 추세여서다. 금융당국은 일단 카드사 자산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진 것은 아니라고 보지만 취약차주가 증가추세인 만큼 예의주시하고 있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카드사, 1분기 연체잔액 ‘1조원’
1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금융지주계열 카드사(신한·KB국민·우리·하나카드)와 업계 2위를 다투는 삼성카드의 연체잔액(1개월 이상 연체)은 지난 1분기 기준 총 9552억원이다. 지난해 말(9127억원)에 비해 4.7%(425억원) 늘어난 수치다.
연체율도 올랐다. 같은 기간 5개 카드사의 평균 연체율은 0.29%포인트 상승한 1.41%로 집계됐다. 카드사별로 보면 우리카드의 상승폭이 가장 컸다. 우리카드 연체율은 지난해 말 1.12%였지만 올 1분기 1.41%로 0.29%포인트 올랐다. 연체액도 810억원에서 1030억원으로 27.2%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같은 기간 하나카드 연체율은 1.67%로 0.13%포인트 올랐으며 KB국민카드는 0.03%포인트 오른 1.27%로 나타났다. 연체액은 각각 6.7%(66억원) 오른 1050억원, 5.1%(93억원) 증가한 1928억원이었다. 삼성카드의 경우 연체율은 1.17%로 0.08%포인트 올랐으며 연체액은 2257억원으로 3.2%(71억원) 증가했다. 반면 신한카드 연체율은 1.40%로 0.03%포인트 떨어졌고 연체액도 3287억원으로 0.8%(25억원) 줄었다.
이처럼 주요 카드사의 연체액이 1조원에 육박하고 연체율도 오른 건 지난해 악화된 수익성을 보전하기 위해 카드사가 카드대출을 늘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지난해 1분기 65조5600억원이었던 이들 5개사 채권잔액은 올해 1분기 71조6974조원으로 9.4% 늘었다.
◆자산건전성은 ‘개선 중’… 취약차주 증감이 관건
이처럼 연체액·연체율은 상승했지만 자산건전성이 악화됐다고 예단하기 힘들다는 분석도 많다. 연말을 앞두고 연체채권을 상각하는 등의 영향으로 전년도 말 대비 1분기 연체율이 오르는 경우가 많아 수치상 착시일 뿐 건전성은 오히려 좋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대비 올 1분기 연체율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우리카드(1.12→1.41%)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실제 우리금융지주의 실적보고서를 보면 우리카드의 지난해 1분기 연체율은 1.60%다. 이때와 비교하면 올 1분기(1.41%) 연체율은 0.19%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말 연체율(1.21%)도 2015년 말(1.54%)과 비교하면 0.33%포인트 낮아졌다. 2014년 말 연체율은 1.65%였다. KB국민카드 역시 지난해 말(1.24%) 연체율은 2015년 말(1.59%)보다 0.35%포인트 떨어졌으며 삼성카드와 신한카드도 같은 기간 각각 1.30%에서 1.09%로, 1.44%에서 1.43%로 낮아졌다. 자산건전성이 좋아지고 있다는 얘기다.
다만 상황이 나빠질 우려도 있다. 시중금리 인상기에 취약차주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서다. 한국은행이 올 초 발행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취약차주 비중은 지난해 9월 기준 15.8%에 달한다. 은행권(3.7%)은 물론 비은행권 전체 평균(10.0%)보다 높은 수준이다. 앞으로 취약차주의 비은행의 신용대출 이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카드사의 취약차주 비중은 더 높아질 수 있다.
금융감독원 상호여전감독국 관계자는 “지난해 카드론 규모가 증가하면서 올 1분기 연체율이 올랐지만 예년 수준의 증가율로 분석된다”며 “자산건전성이 악화될 정도의 증가율로 보기엔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감독당국이 카드사 건전성 관리에 신경 쓰고 있지만 앞으로도 계속 예의주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