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비. 사진은 경찰이 압수한 험비 차량. /사진=뉴스1(서울경찰청 제공)
주한 미군 장갑차 '험비'를 빼돌려 팔아치운 고물상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오늘(17일) 주한 미군기지에서 험비 3대를 훔친 고물상 허모씨(60) 등 밀반출업자 3명과 밀반출을 도운 한국계 미국인 전모 미군 중사(47) 등 2명을 군용물 등 범죄에 관한 특별조치법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빼돌린 험비 매매를 알선한 권모씨(50)와 이를 구매한 영화소품제작업자 김모씨(54)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허씨 등은 지난해 6월9일 한국 공군부대에 주둔한 미군기지에서 시가 7000만원상당 토우 미사일 장착형 험비를 화물차량에 실어 부대 밖으로 반출한 혐의를 받는다. 3개월 뒤 같은 장소에서 시가 4000만원상당 병력 수송용 험비 2대를 추가로 빼돌린 혐의다.
경찰 미군부대를 출입하며 쓸모없는 군수품(불용품)과 고물을 처리하는 허씨 등은 험비가 시중에서 수천만원에 거래된다는 사실을 알고 평소 알고 지내던 미군 전 중사 등과 범행을 계획했다.
이들은 훔친 험비를 불용품 매각처리소에 보내는 것처럼 미군부대 책임자를 속여 반출증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감시망을 벗어났다.
사용연한이 지난 험비는 매각처리소로 가져가 절단한 후 고철 상태로만 기지 밖으로 가져갈 수 있지만 허씨 등은 원형 그대로 험비를 빼돌린 후 인적이 드문 주차장과 자신들이 운영하는 고물상 야적장에 포장을 씌워 숨겼다.
이중 1대를 권씨를 통해 알게 된 김씨에게 1100만원에 판매했다. 김씨는 해당 차량이 불법 반출된 사실을 알고도 수리 후 전쟁 영화 소품으로 고액에 대여하기 위해 구입했다.
김씨 외에 국내에 구매자가 나타나지 않자 이들은 훔친 험비를 캄보디아, 스리랑카, 몽골 등에 판매하려고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허씨 일당이 험비 외에 또 다른 군용품을 빼돌렸는지에 대한 추가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군용품 밀반출 사례에 대한 첩보 수집과 지속적인 단속도 벌인다는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군용품 수집가나 전쟁용품 애호가들의 구매 수요가 있어 미군에서 불용처리된 조각 난 험비를 구매, 재조립한 상태에서 유통된 사례는 있었지만 원형 상태의 험비 3대가 반출돼 유통된 사례는 최초"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