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간 지방권역 5~6월 일반분양 물량. /자료=부동산인포
지난달 말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3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167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3개월 연속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분양시장과는 분위기가 사뭇 다른 모습이다.
특히 정비사업, 신도시 등 분양시장이 비교적 활발한 것으로 평가 받는 수도권에 비해 지방권역은 전년 동기 대비 분양물량이 눈에 띄게 줄면서 지방권역 예비청약자들은 지난해 보다 단지 선택의 폭도 한층 줄어들 전망이다.

18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남은 2분기(5·6월) 동안 지방권역(광역시 및 지방도시)에서 공급 예정인 일반분양 물량은 총 2만5749가구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3만9188가구) 대비 34.3%, 2015년(3만3055가구) 대비로는 22.1%가 감소한 수준이다.

권역별로는 광역시가 7058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1만1386가구)보다 4328가구 감소했으며 지방도시는 1만8691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2만7802가구) 보다 9111가구가 줄었다.

앞서 지난 1~4월 사이에도 분양물량 감소는 있었지만 지역에 따라 수십 대 1의 청약경쟁률과 조기에 완판 되는 곳들은 있었다. 반대로 청약률이 매우 저조한 곳 역시 나온 만큼 지역, 단지 간 양극화는 2분기에도 심화 될 것으로 예상 돼 예비청약자들의 선별적인 청약이 필요할 전망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불확실한 분위기 일수록 청약시장의 양극화가 심해지는 것은 불가피하다. 이는 비단 지방권역뿐만 아니라 수도권이라고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입지, 가격, 발전가능성 등 기본을 골고루 갖춘 곳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현재 관점이 아닌 2~3년 준공 이후의 가치를 고려한 선별 청약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