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눈물.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유가족의 추모사를 듣던 중 눈물을 훔치고 있다. /사진=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가운데 유가족을 끌어안으며 함께 눈시울을 붉혔다. 문 대통령은 오늘(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5.18 유가족의 사연에 눈물을 흘렸다.
이날 검은색 정장을 입고 기념식에 참석한 문 대통령은 기념사를 마친 뒤 진행된 추모행사를 보던 중 1980년 5월18일 자신이 태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병원에 가다 희생당한 아버지를 둔 유가족 김소형씨(37)를 포옹하며 위로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탄생과 동시에 아버지를 잃은 김소형씨는 '슬픈생일'이라는 제목으로 1부 기념공연을 꾸몄다. 추모사를 겸해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를 낭독한 김씨는 참았던 눈물을 흘리며 무대 뒤로 향했다. 김씨의 편지를 들으며 문 대통령도 끝내 눈시울을 붉히고 눈물을 쏟았다.
문 대통령은 낭독을 마치고 무대 뒤로 퇴장하는 김씨를 예고도 없이 한참을 따라갔다. 김씨는 문 대통령이 따라오는 것을 알지 못하다가 진행요원이 알려주자 뒤를 돌아봤다. 문 대통령은 김씨와 악수하고 한참 동안 안아주며 위로했다. 자리로 돌아와서도 손수건으로 연신 눈물을 훔쳤다.
이어 전국 16개 시·도를 대표하는 대학교수들과 가수 권진원씨가 함께 '그대와 꽃피우다'를 부르는 노래 공연이 계속됐다. 대선 과정에서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를 공개 지지했던 가수 전인권씨가 나와 '상록수'를 불렀다.
한편 문 대통령은 행사 종료 후 기념공연을 펼친 김씨의 선친 고 김재평씨의 묘역에 참배했다. 또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의 주인공으로 알려진 5·18 당시 광주 시민군 대변인 고 윤상원씨의 묘역 등도 참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