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장관 내정자. 사진은 지난 2014년 2월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조태열 당시 외교부 제2차관과 면담하는 모습. /사진=뉴스1
청와대가 21일 강경화(62) 유엔 사무총장 정책특보를 외교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며 강 내정자 장녀의 위장전입 사실을 사전에 공개했다. 내정자의 흠결을 미리 알려 국민과 의회에 양해를 구하기 위한 포석으로 여겨지지만 야당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조현옥 청와대 인사수석은 이날 “강 후보자의 장녀는 1984년 후보자가 미국 유학 중 출생한 선천적 이중 국적자로 2006년에 국적법상 국적선택 의무 규정에 따라 미국 국적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또 “장녀가 미국에서 1년간 고등학교에 다니다가 2000년 2학기에 한국으로 전학을 오면서 1년간 친척 집에 주소지를 두고 위장전입한 사실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이처럼 차후 청문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공개한 것은 인사상의 작은 흠결이 있더라도 꼭 필요한 인사라면 진행돼야 한다는 의중을 밝힌 것으로 여겨진다. 조 수석은 “중요 검증에 대한 판단을 어떻게 했는지를 투명하게 발표하자는 대통령의 의지로 이런 발표를 하게 됐다”며 “내정자 장녀는 다시 한국 국적을 취득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 등 야당의 반발은 거셀 것으로 여겨진다. 김성원 한국당 대변인은 “강 후보자는 위장전입 사실만으로도 고위공직 배제 대상”이라고 반대 의중을 밝혔다.
조영희 바른정당 원내대변인도 이날 강 내정자에 대해 "자녀 위장전입문제와 이중국적 문제를 비롯한 자격문제는 청문회를 통해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예고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