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이후 1~4월 수도권 1순위 마감 현황(중소형 85㎡ 이하, 대형 85㎡ 초과 기준). /자료=금융결제원
11·3 부동산대책에 이은 잔금대출 규제 속 수도권 1순위 마감 비중이 감소 추세인 것으로 조사됐다.25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이후 매년 1~4월 1순위 청약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은 2014년 이후 3년 연속 1순위 마감 비중이 줄었다.
◆수도권- 서울 등 일부 지역 11·3 대책 조정대상지역
수도권은 지난해 대비 감소폭은 1%P 수준이나 전매제한, 1순위자격 강화, 재당첨제한 등이 포함된 11·3 대책으로 인해 1순위자들의 청약이 신중해졌다.
눈에 띄는 부분은 전용면적 85㎡ 초과인 대형 면적의 1순위 마감가구 비율이 증가한 점이다.
올해 대형 분양 가구는 1702가구로 이중 44.1%(751가구)가 1순위에 마감됐다. 많은 수요자들이 전용면적 85㎡ 이하인 중소형을 선호하는 것을 감안하면 눈에 띄는 결과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대형은 자금부담도 있고 추후 매도할 때도 부담이 될 수 있지만 1순위 마감이 증가했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안정적으로 접근할 만한 입지, 실수요 중심의 청약이 증가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수도권- 광역시·세종시 선전
분양물량이 32.7% 줄어든 비수도권(지방광역시+지방도시)은 2013년 이후 4년 연속 1순위 마감 비중이 증가했다.
비수도권 분양가구 총 2만6951가구(특별공급 제외) 가운데 62.4%인 1만6821가구가 1순위에서 마감됐다. 지난해 보다 마감 비중보다 1.3%P 증가한 수준이다.
비수도권은 부산·광주 등 지방 5개 광역시를 비롯해 세종시 등이 올해도 비교적 좋은 흐름을 보였다.
◆새 정부 분양시장은 예측보다 장기적인 안목 필요
KB국민은행 아파트 시세에 따르면 지난 1~4월 수도권과 지방 5대 광역시, 기타도시(수도권 및 지방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도시) 가운데 지방 5대 광역시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달리 매매가 상승률이 높았다. 수도권은 상승폭이 둔화됐고 기타도시는 하락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도시의 하락세가 길어지고 있다. 이는 소비심리를 회복시킬 만한 별다른 요인이 없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 경제를 움직이는 기반산업들의 회복이 있어야 주택시장의 긍정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수도권은 상승폭은 둔화됐지만 재건축,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이 여전히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고 멸실, 이주도 이어진다. 고양·판교·남양주 등 서울 인접 도시들의 분양에 대한 관심도 높아 비교적 좋은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조기 대선을 통해 문재인 정부가 새롭게 들어서면서 향후 부동산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다. 현 정부의 과거 기조로 봤을 때 부동산시장 규제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도 많았지만 당분간 규제 보다는 시장 상황을 보고 구체적인 방향이 정해질 전망이다.
권 팀장은 “지역, 단지의 상품성 여부에 1순위 마감 비중은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수도권이나 광역시 등은 연 초 우려했던 것보다는 흐름이 나쁘지 않았다”며 “다만 새 정부는 이전 정부들과 달리 정책적 기조가 규제측면이 강한 만큼 2년 미만의 단기적인 안목 보다는 3년 이상 긴 호흡을 가지고 안정적인 지역, 단지를 청약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