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청소년 학습시간은 OECD 국가 중 최상위다. 그런데 어린 나이에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다 보니 자연스레 활동부족으로 과체중 등에 노출된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중1~고3 청소년 비만율은 15.4%로 지난 10년간 33%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고혈압 및 당뇨 등 각종 질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만병의 근원이다.
특히 한창 성장해야 할 청소년의 척추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부모들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청소년기의 비만은 척추 건강과 관련이 깊다. 척추 뼈 부위에 지방이 많이 쌓이게 되면 허리에 부담이 가해져 척추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한다. 특히 복부 비만의 경우 척추가 휘어지는 척추측만증이나 척추전만증과 같은 질환 발생률을 높인다. 10대 청소년들은 뼈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성장기’이기 때문에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위험 인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 정형외과 전문의 신재흥 원장은 “학생검진의 경우 기본 신체 계측부터 체성분 검사, 흉부 X선 촬영 등을 통한 비만도 검사 및 근ᆞ골격계 및 척추 건강, 성인병 노출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다”며, “학생검진을 통해 조기진단과 생활습관 교정으로 척추 및 기타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그렇다면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운동을 위해 따로 학습시간을 뺏을 수도 없고 한창 크는 나이에 먹지 말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 강요보다는 스스로 문제점을 인식, 생활 속의 작은 습관 변화로 예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짧은 거리라면 대중교통보다는 걸어서 다니거나 엘리베이터보다 계단을 이용하는 등 일상 속에서 활동량을 늘리는 것이 최소한의 예방이다. 또한 공부할 때도 되도록 의자에 등을 붙여 허리를 곧게 편 상태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칼로리 소비가 되며 척추 건강에도 좋다.

수면시간 또한 비만에 매우 중요한 요소다. 실제로 하루 평균 7시간 이상인 학생에 비해 5시간 이하 학생이 비만 위험이 2.3배 높다는 결과가 있다. 적어도 6시간 이상 충분한 수면을 취하며, 잠을 깨기 위한 커피와 탄산음료도 많이 마실 경우 비만 위험이 커져 자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