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아랍연맹정상회의에 참석한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 타니 카타르 국왕. /사진=뉴시스
중동 지역 국가 사이에 카타르 단교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전날 사우디, 이집트 등 4개국이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한 데 이어 리비아·몰디브 등이 이에 동참하면서 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5일(현지시간)까지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한 사우디아라비아·리비라 동부 정부·예멘·UAE·이집트·바레인·몰디브 등 7개 국가는 카타르와 육해공 통행의 전면 차단을 선언했다. 이들 국가는 카타르가 무슬림형제단, 시아파 무장정파 헤즈볼라 등을 지원한다는 점을 들어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란을 둘러싼 입장 차이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이란은 시아파의 종주국으로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중동지역의 맹주자리를 두고 오랜기간 긴장을 유지해왔다. 이란을 앙숙으로 보는 사우디와 달리 카타르는 친이란 성향의 독자 노선을 채택, 이번 사태의 빌미가 됐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23일 공개된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 타니 카타르 국왕의 연설이 이번 사태의 발단이었다. 카타르 관영통신 QNA는 카타르 국왕이 “이란에 대한 적대 정책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사우디와 서방의 반이란 정책을 비판했다고 보도했다. 카타르 측은 이후 해킹으로 인한 가짜뉴스라고 해명했지만 사우디 등 중동국가등은 카타르 언론 접속을 차단하는 강경책을 내놨다.
논란을 부채질한 건 카타르 국왕의 이후 대처였다. 카타르 국왕은 사우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에 전화를 걸어 양국 관계를 더 강화하기로 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사우디와 UAE 매체는 카타르를 거세게 비판했고 결국 단교로 이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사우디를 방문해 이란을 ‘테러지원국’으로 규정하고 테러 격퇴를 전면적으로 선언한 것도 이번 사태를 촉발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경제매체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과 가까워진 사우디와 UAE가 중동지역에서 이란의 영향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나섰다”며 “카타르에 대한 압박수위가 전례 없는 수준인 것도 이와 같은 노선”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한편 이란은 이번 사태에 대해 우려하는 입장을 즉각 표명했다. 로하니 이란 대통령실 하미드 아부탈레비 참모부장은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국경을 닫는 건 긴장을 해결하는 방법이 아니다”라며 “공격과 점령행위는 불안정성만 초래할 뿐”이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