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저신용자 가계대출 44%가 신용대출로 조사됐다./사진=머니투데이DB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저신용자들의 신용대출 비중이 44.1%로 조사됐다.
24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 현재 저신용 차주(7~10등급) 가계대출 총액에서 신용대출 비중은 44.1%로 추산됐다. 그 뒤를 토지 등 비주택담보대출(28.5%)과 주택담보대출(27.4%)가 이었다.
이는 한국은행은 신용조회회사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입수한 약 100만명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자료에 따르면 고신용 차주(1~3등급) 가계대출 총액에서 신용대출은 20.5%에 불과하고 중신용 차주(4~6등급)도 27.4%로 30%를 넘기지 않았다. 저신용 차주는 보통 소득과 자산이 적은 편이기 때문에 담보가 필요 없는 신용대출 상품을 많이 찾는다.
신용대출 상품은 이자가 비싸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은행 가중평균금리 통계를 보면 지난 4월 예금은행 일반 신용대출금리는 연 4.52%로 가계대출 평균 금리(3.41%)보다 1% 이상 높았다.
제2금융권도 신용대출 금리가 높은 편이다. 저축은행 심용대출 금리는 20.78%로 가계대출 평균인 14.28%보다 6.5% 높았다. 상호금융은 신용대출 금리가 4.56%로 가계대출 평균인 3.85%보다 0.71% 높았다.
문제는 시중 금리가 오르면 저신용 차주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데 있다.
15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정책금리를 올리면서 국내 시중금리도 오름세를 탔으며 앞으로 신용대출 금리도 가파르게 오를 공산이 크다. 신용대출 금리는 개인 신용도를 바탕으로 적용되는 만큼 상황에 따라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한은은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대출금리가 오를 경우 신용대출에서 금리상승폭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신용대출 비중이 높은 중·저신용 차주의 채무상환 부담이 큰 폭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