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임한별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7일 삼계탕 등 닭 요리 섭취가 증가하는 여름철에는 닭을 포함한 가금류의 조리 과정에서 교차 오염에 의한 캠필로박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며 생닭 조리 과정에 주의를 당부했다.
식약처가 식중독 발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캠필로박터 식중독 발생건수(환자수)는 2013년 6건(231명), 2014년 18건(490명), 2015년 22건(805명), 2016년 15건(831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전체 발생건수의 43%가 7~8월에 집중됐는데 이는 여름철 기온이 높아 캠필로박터균 증식(30~45도)이 용이하고 이 시기에 삼계탕 등 보신용 닭 요리 섭취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캠필로박터균은 가열 조리 과정에서 쉽게 사멸하지만 생닭을 씻을 때 물이 튀어 주변의 식재료를 오염시키거나 생닭과 날로 먹는 채소를 같은 조리 도구로 사용해 발생하는 교차 오염이 주된 감염 경로로 알려졌다.
생닭을 씻을 때는 물이 튀어 주변 식재료, 조리 도구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변을 치워야 하며 식재료는 채소류, 육류, 어류, 생닭 순으로 씻어야 한다. 생닭을 다룬 손은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로 씻은 후 다른 식재료를 취급해야 하며, 생닭과 접촉했던 조리 도구 등은 반드시 세척·소독해야 한다.
조리 시 생닭과 다른 식재료는 칼·도마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부득이 하나의 칼·도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채소류, 육류, 어류, 생닭 순으로 하고 식재료 종류를 바꿀 때마다 칼·도마를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생닭은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중심 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 조리해야 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생닭 취급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건강하고 맛있는 닭 요리를 즐길 수 있으며 특히 학교,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급식소와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더욱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