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병. 용혈성요독증후군. 사진은 질병관리본부. /사진=뉴시스

국내에서 용혈성요독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HUS) 환자가 최근 6년간 24명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질병관리본부가 2011~2016년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으로 보고된 환자 443명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중 합병증 HUS로 진행된 것은 5.4%(24명)로 집계됐다.

연령으로 살펴보면 0~4세가 58.3%(14명)로 5세 미만 영유아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나머지도 5~9세 12.5%(3명), 10세 이상 29.2%(7명) 등으로 분석돼 소아의 발병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제1군 법정감염병인 병원성대장균의 일종으로,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EHEC)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환이다. 잠복기는 2~10일(평균 3~4일)로 환자는 무증상부터 발열·설사·혈변·구토·심한 경련성 복통 등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환자의 10% 이하는 합병증인 HUS로 인해 용혈성 빈혈·혈소판감소증·급성 신부전 등의 증세를 보이다가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HUS는 최근 4살(사고 당시) 유아가 햄버거를 먹고 신장 장애가 생겼다며 소송을 벌이는 가운데 장애의 원인을 일으킨 질환으로 지목돼 이른바 '햄버거병'이라고 불리고 있다.

질본은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 씻기, 음식 익혀 먹기 등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식사 전에 반드시 음식이 완전히 익었는지 확인하고 복통·설사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진에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